라인데르트님 문의와 관련해서 확인한 몇 가지 사실들을 정리해 놓습니다.
리벅펌에서 full DEX – CEX 전환에 대한 글을 적었던 기억이 있네요. 하지만 요즘은 PC에서 실행해야 하는 C2D가 거의 필요 없다는 생각이드네요. 바로 IDPSet v0.X 버전이 그 기능을 하기 때문이죠. 저도 처음 알았네요. 단지 IDPS만 변경하는 툴인줄 알고 있었어요.^^
참고로 리벅툴박스(4.65.2에 포함될 버전에는 이 부분의 기능이 더 강화된다고 하네요. 주니님께서 참고로 알려주셨어요^^)를 사용해서 플래시를 덤프할 경우, CEX 상황에서는 당연히 CEX 덤프 파일이 나오고 DEX 상황에서는 DEX로 덤프된 파일이 나온답니다. Target ID가 바뀐 상태로 그대로 나오는거죠.
아시다시피 DEX와 CEX의 구분은 Target ID에 따른거죠. 관련 글은 여기에서 확인하시구요.^^
CEX 상태에서 덤프한 파일을 PC로 옮겨서 C2D로 변환하면 Target ID를 변경해 주는거에요. 그 수치는 당근 DEX의 수치인 82겠죠?^^ 그래서 변경한 파일과 기존의 파일을 각각….
CEX-FLASH.EID0.NORBIN (CEX 상태에서 추출한 플래시 덤프 파일)
DEX-FLASH.EID0.NORBIN (82로 바꾼 상태의 덤프 파일)
으로 변경한 뒤 리벅툴박스의 Rewrite Target ID in Flash를 이용해 DEX로 전환을 하는 것이었답니다. 그런데….
IDPSet v0.6을 쓰면 위의 두 가지
CEX-FLASH.EID0.NORBIN, DEX-FLASH.EID0.NORBIN 파일을 쉽게 덤프해 낼 수 있는 기능이 있답니다.^^
실험을 위해 CECHL01 뚱땡이에 리벅 4.65.1에서 설치 및 실행을 해 봤어요.
추출 방법은 당근 eid root key가 필요하구요.(이건 알아서 추출하세요. 참고로 eid root key dumper 4.65펌용을 사용하면 DEX상태에서도 추출이 된답니다.^^)
eid root key를 USB000 의 루트에 복사해 놓고(즉 블루레이쪽 포트에 USB 외장 스토리지를 꽂아야 하는거죠), IDPSet v.0.6을 설치 실행하면
메뉴 중에
Generate a DEX and a CEX dump of the current NOR/NAND를 선택하면 알아서 두 가지 덤프 파일을 USB000에 만들어 주는 것이죠. 주의할점은 이 파일이 PC에서 안보일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폴더 옵션에서 보호된 운영체제 파일 숨기기를 언첵해야만 볼 수 있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CEX 상태에서 추출하고 MD5값을 비교해보니
DEX-FLASH.EID0.NORBIN 이 파일과 리벅툴박스에서 추출한 플래시 덤프 파일의 해시값이 일치하더군요. 즉 이게 바로 CEX-FLASH.EID0.NORBIN 파일이란거죠. 반대로 생성된 CEX-FLASH.EID0.NORBIN는 DEX-FLASH.EID0.NOR.BIN파일이에요.
이 부분은 IDPSet v0.6 의 버그가 아닌가 생각되네요. 지금 현제 0.75베타까지 나온걸로 아는데 그 이후버전은 제가 구할 수가 없어서 실험을 못했어요.
여하튼 두 파일의 이름을 서로 변경해주고 리벅툴박스에서 Rewrite Target ID in Flash를 사용하니 DEX-CEX 변경이 잘 되는군요.
그런데 문제는 여기부터인데…. 라인데르트님 잘 보세요.^^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DEX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덤프가 어떻게 되는걸까요?? 그래서 아래의 실험을 해 봤답니다.^^
라인데르트님 상황과 마찬가지로, 즉 DEX로 전환해서
lv2_kernel은 CEX로 Target type은 DEX로 된 상황이라면, 리벅툴박스로 flash를 덤프할 경우 DEX 상태로 나오는건 당연하구요. 이 상태에서 IDPSet을 실행하여 Generate a DEX and a CEX dump of the current NOR/NAND를 선택하면,
얘가 바로 추출하는게 아니라 현재 상태가 DEX이므로 Target ID를 선택하라고 나온다는거죠. 83, 즉 japan 부터 그걸 임의로 바꿔서 덤프되는 파일을 만든다는거에요. 제가 궁금한게 바로 이 부분이네요. 라인데르트님이 이 부분을 어떻게 처리하셨는지… 한국 제품이면 86(미국은 84)으로 만들어서 덤프를 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리고 이 상태에서 덤프된 CEX, DEX 파일을 살펴보니 이게 바뀌어있지가 않네요. 즉 제대로 덤프가 되었다는거에요. DEX는 DEX 제대로, CEX는 CEX제대로라는거죠.
정리해서 말하면 CEX 상태에서 IDPSet v0.6으로 플래시를 덤프하면 CEX/DEX가 서로 바뀌어서 덤프가 되지만 DEX 상태에서는 원하는 Target ID를 설정할 수 있고 CEX/DEX가 제대로 덤프 된다는거에요.^^
제가 의심되는건 라인데르트님이 CEX/DEX를 rename해서 플래싱 했다는 부분이랍니다. 이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에요. 펌웨어 업뎃 전에 Target ID를 확인해 보세요. 이건 SEN enabler 최신버전을 사용하면 확인할 수 있답니다. 그리고 DEX상태에선 이 어플 자체가 실행되지 않아요. 반드시 확인하시고 펌업 작업을 했으면 좋겠네요.^^
기록을 해둬야만 할 것 같아서 포스팅 했어요. 라인데르트님 뿐만 아니고 다른 분들께도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